
지난 5월에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하신 분들, 많으시죠? 목 빠지게 기다리셨을 텐데 드디어 지급일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보통 9월에 지급되지만 올해는 조금 빠른 8월 말(25일~29일 사이)에 지급될 예정이라고 해요. 정말 반가운 소식이죠? 😊
최근 정부의 세제 개편안 발표가 예정되어 있지만, 아쉽게도 근로·자녀장려금 확대는 이번에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. 당분간은 지금의 조건과 금액이 유지될 것 같으니, 오늘 알려드리는 내용을 잘 숙지해두시는 게 중요해요!
지급일이 다가오면 홈택스나 손택스 앱에서 예상 지급액을 미리 확인해 볼 수 있으니, 조만간 접속해서 확인해 보세요!
근로장려금: 누가 얼마나 받을까? 👨👩👧👦
근로장려금은 가구 형태(단독, 홑벌이, 맞벌이)와 소득, 재산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는데요. 가구별로 최대 165만원에서 330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📝 최대 금액 330만원, 아무나 받는 게 아니에요!
예를 들어, 맞벌이 가구가 최대 금액인 330만원을 모두 받으려면, 부부의 총급여액 등이 800만원 이상 1,700만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 이 구간을 벗어나면 지급액이 줄어들기 때문에, 실제로 최대 금액을 받는 분은 생각보다 많지 않을 수 있어요.
자녀장려금: 우리 아이, 1인당 100만원? 👶
자녀장려금은 18세 미만 자녀를 부양하는 가정을 위한 제도입니다. 부부 합산 총소득이 7,000만원 미만이라면 자녀 1명당 최대 1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죠.
📝 자녀장려금 100만원, 소득 기준은?
이것 역시 소득에 따라 금액이 달라져요. 예를 들어 맞벌이 가구가 자녀 1명의 장려금 100만원을 모두 받으려면, 총급여액 등이 2,500만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가장 중요! 공통 재산 기준 및 감액 조건 ⚠️
근로장려금이든 자녀장려금이든,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것은 바로 ‘재산’ 기준입니다. 소득 기준을 만족하더라도 재산이 많으면 장려금을 받을 수 없거나 삭감될 수 있어요.
- 재산 기준: 가구원 전체의 재산 합계액이 2.4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.
- 50% 감액: 재산이 1.7억 원 이상 2.4억 원 미만일 경우, 산정된 장려금의 50%만 지급됩니다.
- 기한 후 신청: 신청 기간을 놓쳐 기한 후 신청을 하면 5%가 감액됩니다.
- 중복 공제: 연말정산 시 자녀세액공제를 받았다면, 자녀장려금에서 해당 금액만큼 차감 후 지급됩니다.
2025년, 2026년 신청 일정 미리보기 🗓️
근로장려금은 1년에 한 번 신청하는 ‘정기신청’과, 1년에 두 번 나누어 신청하는 ‘반기신청’이 있습니다. 근로소득만 있는 분들은 반기신청을 통해 장려금을 미리 받을 수 있고, 사업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다면 정기신청만 가능해요. 앞으로 다가올 신청 일정을 미리 확인해두세요!
구분 | 신청 기간 | 지급 시기 |
---|---|---|
2025년 상반기분 | 2025년 9월 | 2025년 12월 |
2025년 하반기분 | 2026년 3월 | 2026년 6월 |
2025년 정기분 | 2026년 5월 | 2026년 8월 말 |
오늘 알려드린 정보가 가계에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.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😉